Seoul Shootouts (서울 슈팅)
"Seoul Shootouts" is a pioneering multimedia ethnographic project examining the intersection of fashion, urban culture, and female empowerment in contemporary Seoul. The project employs an innovative methodological approach: dedicating each month to a single neighborhood, where models, dressed in locally appropriate trendy attire, are photographed throughout the space, allowing their personal style choices to interact organically with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this combination of photography, interviews, and location-based documentation across ten distinct neighborhoods, the project maps the transformation of Seoul's cultural landscape through the lens of young women's consumer practices and aesthetic choices. This radical cultural geography approach creates an authentic, model-driven look book of Korean style while simultaneously documenting spatial dynamics. The research employs a dual-axis analytical framework—geographic and cultural—to document how women's changing roles and consumer behaviors are reshaping traditional social norms. By comprehensively shooting our subjective notions of Korean style across the different neighborhoods and subcultures of the city, this project creates a comprehensive digital ethnographic database that captures the evolving dynamics of gender, space, and identity in South Korea's megacity. "Put simply, the project wants the model to simply dress up in her idea of a Korean style and simply model that in this neighborhood."
"서울 슈팅"은 현대 서울의 패션, 도시 문화, 여성 권한 신장의 교차점을 조명하는 선구적인 멀티미디어 민족지학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혁신적인 방법론적 접근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매월 하나의 특정 동네에 집중하여, 모델들이 그 지역에 어울리는 트렌디한 의상을 착용하고 그 공간 전체에서 촬영되며, 이를 통해 그들의 개인적인 스타일 선택이 도시 환경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도록 합니다. 10개의 특색 있는 지역에 걸친 사진, 인터뷰, 현장 기반 기록을 통해 젊은 여성들의 소비 관행과 미적 선택의 관점에서 서울의 문화 경관 변화를 매핑합니다. 이러한 급진적 문화 지리학적 접근은 한국적 스타일의 진정성 있는, 모델 주도적 룩북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공간적 역학을 기록합니다. 이 연구는 지리적, 문화적 이중 축 분석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여성들의 변화하는 역할과 소비 행태가 전통적인 사회 규범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기록합니다. 도시의 각기 다른 동네와 하위문화를 아우르는 한국적 스타일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 관념을 종합적으로 촬영함으로써, 한국의 메가시티에서 진화하는 성별, 공간, 정체성의 역동성을 포착하는 포괄적인 디지털 민족지학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 프로젝트는 모델이 자신이 생각하는 한국적 스타일로 옷을 입고 그 동네에서 자연스럽게 모델링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As the first large-scale fashion ethnography project conducted in Seoul, we want to map the fashion culture of Seoul in tandem with its signature cultural landscapes. The very landscape of Seoul is constructed and constituted by young women with disposable income and hypermodern notions of identity. These new foundations of belonging are a leveling force that shatter older, archaic categories of being that brought with them strict rules and limitations, such as in the category of Korean ***** or woman*** or student. In the 1920s, 1960s, or even the 1980s, there were things that women simply couldn't do. There were ways of thinking that anyone who called themselves "Korean" were supposed to follow. If you were a high school student, dating was not on your dance card, and you simply didn't see yourself as possessed of any rights, as someone entitled to anything. Nowadays, the prime democratizing force in Korean society isn't any "democracy" itself, but the idea of rights as a consumer. "I bought this seat in a coffee shop, so I can do what I want in it" seems to be what defines public comportment now, as opposed to when it was considered uncouth to do private things in public spaces, like applying makeup in the subway or eating while walking. Or for women to smoke. Or sport tattoos.**
Photographically, I shoot low and aim high, aiming to capture culture from the ground up while looking up to my subjects. As to why women are seemingly the right way of making visual sense of the city, it is best to quote photographer Hein-Kuhn OH quoting art critic Jee-sook BECK in saying that "women are both the subject and object of desire." I humbly add to this by saying that women are at the same time subject, object, as well as the verb of desire, as it is through women's aesthetic and consumptive choices that the very cultural landscape of Seoul is now forged.
서울에서 진행되는 최초의 대규모 패션 민족지학 프로젝트로서, 우리는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 경관과 함께 패션 문화를 매핑하고자 합니다. 서울의 실제 경관은 가처분소득과 초현대적 정체성 개념을 가진 젊은 여성들에 의해 구축되고 구성됩니다. 이러한 새로운 소속감의 기반은 한국인, 여성, 학생 등의 범주에서 엄격한 규칙과 제한을 수반했던 오래되고 구시대적인 존재의 범주를 깨뜨리는 평준화 힘입니다. 1920년대, 1960년대, 심지어 1980년대에도 여성들이 단순히 할 수 없는 일들이 있었습니다. "한국인"이라고 자칭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따라야 했던 사고방식이 있었습니다. 고등학생이었다면, 데이트는 당신의 선택지에 없었고, 자신을 어떤 권리를 가진 사람, 무언가를 누릴 자격이 있는 사람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의 주요 민주화 힘은 "민주주의" 자체가 아닌, 소비자 로서의 권리 개념입니다. "커피숍에서 이 자리를 내가 샀으니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이제는 공공 행동을 정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지하철에서 화장을 하거나 걸으면서 먹는 것과 같은 사적인 행위를 공공장소에서 하는 것이 무례하다고 여겨졌던 때와는 대조적입니다. 여성이 담배를 피우거나 문신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진적으로, 나는 낮게 촬영하고 높게 겨냥하며, 피사체를 우러러보면서 아래에서부터 문화를 포착하고자 합니다. 왜 여성이 도시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올바른 방법으로 보이는지에 대해, 오희근 사진작가가 백지숙 미술평론가의 말을 인용한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여성은 욕망의 주체이자 대상이다." 나는 여기에 겸손히 덧붙이고자 합니다. 여성은 동시에 욕망의 주체, 대상, 그리고 동사 이기도 하다고, 왜냐하면 여성들의 미적, 소비적 선택을 통해 서울의 문화적 경관이 현재 형성되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