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tres of Desire: Tracing the Haunted Topography of Itaewon's Hooker Hill / 욕망의 유령들: 이태원 홍등가의 유령 같은 지형을 추적하다
Spectres of Desire: Tracing the Haunted Topography of Itaewon's Hooker Hill
욕망의 유령들: 이태원 홍등가의 유령 같은 지형을 추적하다
The opening scene fades in, a gritty urban landscape bathed in the seductive glow of neon signs and flickering streetlights. Amidst the haze of cigarette smoke and broken dreams, a solitary figure emerges - Yuna, the enigmatic "prostitute" of Hooker Hill. She saunters down the narrow alleyway, her high heels clicking against the pavement like a metronome keeping time with the city's restless pulse.
오프닝 장면은 네온사인과 깜박이는 가로등의 매혹적인 불빛으로 뒤덮인 거친 도시 풍경으로 페이드 인 된다. 담배 연기와 깨진 꿈의 안개 속에서 한 고독한 인영이 모습을 드러낸다. 홍등가에서 수수께끼 같은 "창녀" 유나다. 그녀는 좁은 골목길을 휘적거리며 걷는다. 그녀의 하이힐이 도시의 들뜬 고동에 맞춰 메트로놈처럼 포장도로를 두드린다.
Clad in a fur coat and fishnet stockings, Yuna embodies the timeless archetype of the femme fatale, equal parts allure and danger. Her heavily made-up face is a mask of perfect composure, betraying no hint of the secrets and scars hidden beneath the surface. As she pauses beneath the garish light of a "COLD BEER" sign to light a cigarette, one can almost hear the melancholic strains of a jazz saxophone echoing through the night air.
모피 코트와 망사 스타킹을 입은 유나는 매혹과 위험이 공존하는 팜 파탈의 영원한 원형을 구현한다. 그녀의 짙게 화장한 얼굴은 완벽한 침착함의 가면이지만, 그 표면 아래 숨겨진 비밀과 상처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그녀가 야한 "COLD BEER" 간판 아래에서 담배에 불을 붙이려 멈춰 서면, 마치 재즈 색소폰의 우울한 선율이 밤바람에 울려 퍼지는 것 같다.
This is Itaewon after dark, a liminal space suspended between the grit of the past and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In this neo-noir wonderland, Yuna is both protagonist and cipher, a symbol of the neighborhood's haunted legacy and its stubborn resistance to the forces of change. Her very presence evokes the ghosts of generations past - the "yanggongju" (양공주), or "Western princesses," who once roamed these streets, trading fleeting intimacy for a chance at a better life.
이것이 어둠이 내린 후의 이태원이다. 과거의 거친 모습과 미래의 불확실성 사이에 뜬 공간, 중간계적 공간. 이 네오누아르 의 불가사의한 세계에서 유나는 주인공이자 암호다. 그녀는 이 동네의 숨겨진 과거와 변화의 힘에 대한 고집스런 저항을 상징한다. 그녀의 존재 자체가 기나긴 세월 속 유령들을 불러일으킨다 - 한때 이 거리를 배회하며, 스쳐가는 육체적 친밀함을 더 나은 삶의 기회와 맞바꾸던 "양공주(洋公主)"들 말이다.
Yet there is something different about Yuna, a quiet defiance in her gaze that suggests she is more than just a passive vessel for male desire and voyeuristic curiosity. As she blows a plume of smoke into the night sky and disappears around the corner, one senses that her story is far from over - that she embodies the resilient spirit of a place that refuses to be erased or sanitized for the sake of progress.
하지만 유나에게는 뭔가 다른 점이 있다. 그녀의 눈빛에는 남성의 욕망과 관음증적 호기심을 위한 수동적 그릇 그 이상임을 암시하는 고요한 저항이 서려 있다. 밤하늘에 담배 연기를 한 모금 내뿜고 모퉁이 너머로 사라지는 그녀를 보며, 문득 그녀의 이야기가 결코 끝나지 않았음을 깨닫게 된다.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지워지거나 정화되기를 거부하는 이 장소의 불굴의 혼을 그녀가 구현하고 있음을.
I. Mapping the Psychogeography of Desire
I. 욕망의 심리지리 맵핑
Hooker Hill looms large in the psychogeography of Itaewon, a spectral presence that simultaneously repels and beckons. It is a space of transgression and liminality, where the normal rules and moral codes of society seem to dissolve under the harsh glare of neon lights. Here, desire is a palpable force, a current of anticipation and dread that crackles through the air like static electricity.
홍등가는 이태원의 심리 지리에서 거대하게 자리잡고 있다. 동시에 쫓아내고 유혹하는 유령 같은 존재다. 이곳은 일탈과 경계의 공간이다. 사회의 관습적인 규범과 도덕률이 네온 불빛의 냉혹한 눈부심 속에 녹아 사라지는 듯한 곳. 여기서 욕망은 만질 수 있을 듯한 힘이며, 예감과 공포가 정전기처럼 허공에 타닥거리는 기류다.
For generations, this labyrinthine network of alleyways and side streets has been the domain of sex workers catering to the needs of foreign soldiers and thrill-seeking tourists. Their bodies become canvases upon which the complex dynamics of race, power, and colonial violence are inscribed. In the popular imagination, the Korean prostitute is at once an object of pity and revulsion, a symbol of the nation's shameful history of exploitation at the hands of foreign powers.
몇 세대를 걸쳐, 이 미로 같은 골목과 뒷길의 그물망은 외국 군인과 스릴을 찾는 관광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성노동자들의 영역이었다. 그들의 몸은 인종, 권력, 식민 폭력이 뒤얽힌 복잡한 역학관계가 각인되는 화폭이 된다. 대중의 상상력 속에서 한국의 매춘부는 동정과 혐오의 대상이기도 하며, 동시에 외세의 손아귀에서 착취당한 나라의 수치스러운 역사를 상징하기도 한다.
Yet in Yuna's defiant stride and inscrutable gaze, we find a challenge to these reductive narratives. She embodies the enigma of Itaewon itself, a shape-shifting entity that resists easy categorization or containment. Is she victim or agent, martyr or survivor? In the flickering half-light of Hooker Hill, such binary distinctions collapse, giving way to a more complex tableau of negotiated identities and provisional freedoms.
하지만 유나의 도전적인 걸음걸이와 알 수 없는 눈빛 속에서 우리는 이런 단순화된 서사에 대한 도전을 발견한다. 그녀는 쉽게 분류되거나 억누를 수 없는, 변화무쌍한 이태원 그 자체의 화신이다. 그녀가 피해자인가, 아니면 주체인가? 순교자인가 생존자인가? 홍등가의 깜빡이는 어스름 속에서 그런 양분법적 구분은 무너지고, 협상된 정체성과 일시적 자유들이 만들어내는 더 복잡한 그림에 자리를 내준다.
Through Yuna's eyes, we are invited to confront the psychic wounds and unspoken traumas that haunt this landscape of desire. Her very presence testifies to the resilience of the human spirit in the face of systemic oppression and structural violence. She reminds us that even in the darkest corners of the city, there is still room for acts of resistance, creativity, and self-determination.
유나의 눈을 통해, 우리는 이 욕망의 풍경에 스며들어 있는 마음의 상처와 말할 수 없는 트라우마와 마주할 것을 초대받는다. 그녀의 존재 자체가 체계적 억압과 구조적 폭력 앞에서도 인간 정신의 회복력을 입증한다. 그녀는 우리에게 도시의 가장 어두운 구석에서조차도 저항과 창조성, 자기 결정의 행위를 위한 공간이 있음을 상기시킨다.
II. Excavating the Archaeology of Military Occupation
II. 군사 점령의 고고학 발굴
To fully understand the haunted topography of Hooker Hill, we must excavate the sedimented layers of history that lie beneath its surface.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Itaewon has been defined by its proximity to the Yongsan Garrison, the sprawling US military base that has cast a long shadow over the neighborhood's development.
홍등가의 유령 같은 지형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우리는 그 표면 아래 쌓여있는 역사의 퇴적층을 파헤쳐야 한다. 반 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이태원은 용산 기지, 즉 이 동네의 발전을 짙은 그림자로 덮어온 거대한 미군 기지와의 인접성으로 정의돼 왔다.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Itaewon emerged as a key staging ground for the US military's "rest and relaxation" industry. Bars, brothels, and nightclubs catering to American GIs proliferated, transforming the area into a sordid playground where the lines between commerce and coercion were blurred. The yanggongju who worked these establishments were often women from impoverished rural backgrounds, lured by the promise of a steady income and a chance to escape the grinding poverty of postwar Korea.
한국전쟁의 여파 속에서, 이태원은 미군의 "휴식과 휴양" 산업을 위한 주요 전초기지로 떠올랐다. 미군 병사들을 상대하는 바, 홍등가, 나이트클럽이 급증하면서, 이 지역은 상업과 강압의 경계가 흐릿해지는 추잡한 놀이터로 변모했다. 이런 업소에서 일하던 양공주들은 대개 가난한 시골 출신의 여성들로, 안정적인 수입과 전후 한국의 극심한 빈곤에서 탈출할 기회에 이끌려 왔다.
Over time, the presence of the US military became deeply entangled with the fabric of everyday life in Itaewon. The base acted as an economic engine, providing jobs and revenue streams for local residents, even as it perpetuated a culture of militarized masculinity and gendered violence. The very architecture of the neighborhood bears the scars of this history, from the weathered facades of former brothels to the looming presence of the garrison's concrete walls.
시간이 흐르면서, 주한 미군의 존재는 이태원 일상의 구조와 깊이 얽혀들어갔다. 기지는 경제 엔진 역할을 했고, 동네 주민들에게 일자리와 수입원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군사화된 남성성과 성 차별적 폭력의 문화를 영속시켰다. 마모된 옛 홍등가의 건물 정면부터 위압적으로 솟아 있는 기지의 콘크리트 담장에 이르기까지, 이 동네의 건축물들 자체가 이런 역사의 상흔을 품고 있다.
As we navigate the narrow streets of Hooker Hill in Yuna's footsteps, we cannot help but feel the weight of this legacy pressing down upon us. The ghosts of the past are everywhere, whispering stories of subjugation, survival, and subversion. In the flaking paint and faded signs, we catch glimpses of the countless women who have passed through these spaces, each leaving her own indelible mark on the palimpsest of history.
유나의 발자취를 따라 홍등가의 좁은 골목을 돌아다니다 보면, 우리는 이런 유산의 무게가 어깨를 짓누르는 것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과거의 유령들이 곳곳에 있다. 굴종과 생존, 전복에 관한 이야기를 속삭이며. 벗겨진 페인트와 바랜 간판들 속에서 우리는 이 공간을 거쳐 간 수많은 여성들의 모습을 어렴풋이 엿볼 수 있다. 각자 역사의 덧씌운 종이(palimpsest) 위에 자신만의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기며.
Yet even as we excavate these painful memories, we must also remain attuned to the ways in which the residents of Itaewon have resisted and reclaimed this history. In the vibrant street life and creative ferment of the neighborhood today, we can see the seeds of alternative futures taking root. Yuna's enigmatic presence reminds us that even in the shadow of empire, there is still space for acts of imagination, solidarity, and hope.
그러나 우리가 이 아픈 기억들을 발굴하는 동시에, 이태원 주민들이 이 역사에 저항하고 되찾아온 방식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오늘날 이 동네의 활기찬 거리 풍경과 창조적 흥분 속에서, 우리는 대안적 미래의 씨앗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유나의 수수께끼 같은 존재는 우리에게 제국의 그림자 아래에서도 여전히 상상과 연대, 희망을 위한 공간이 있음을 상기시킨다.
III. Confronting the Ghosts of National Shame and Silence
III. 국가적 수치와 침묵의 유령들과 마주하기
To trace the haunted topography of Hooker Hill is to confront the specters of shame and silence that have long plagued the Korean national psyche. For decades, the "problem" of prostitution around US military bases was treated as an open secret, a necessary evil to be tolerated in the name of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홍등가의 유령 어린 지형을 더듬어가는 일은 오랫동안 한국의 국민정신을 괴롭혀온 수치와 침묵의 망령과 마주하는 일이다. 수십 년간, 미군 기지 주변의 매춘 "문제"는 공공연한 비밀로 취급되었다. 국가안보와 경제발전이라는 이름으로 용인해야 할 필요악으로 여겨졌다.
The yanggongju, in particular, were subjected to a double stigma - reviled as sexual deviants corrupting traditional morality, even as their labor was tacitly condoned as a bulwark against Communist infiltration. In the official narratives of postwar nation-building, their stories were erased or relegated to the margins, buried under lofty rhetoric of modernization and progress.
특히 양공주들은 이중의 낙인에 시달렸다. 전통적 도덕을 타락시키는 성적 일탈자로 비난받는 동시에, 그들의 노동은 공산주의 침투에 대한 방파제로서 암묵적으로 용인되었다. 전후 국가 재건의 공식 내러티브 속에서, 그들의 이야기는 지워지거나 주변부로 밀려났다. 근대화와 진보라는 거창한 수사 아래 묻혔다.
This strategic forgetting has had profound consequences for the women of Itaewon and their descendants. Many yanggongju have carried the burden of their past in solitude, unable to speak of their experiences for fear of social ostracism and familial rejection. The trauma of sexual violence, exploitation, and abandonmen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manifesting in complex cycles of shame, resentment, and internalized oppression.
이 전략적 망각은 이태원의 여성들과 그 후손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많은 양공주들은 과거의 짐을 홀로 짊어졌다. 사회적 격리와 가족의 거부를 두려워해 자신의 경험을 말하지 못했다. 성폭력과 착취, 유기의 트라우마는 세대를 거쳐 전해졌고, 수치와 원망, 내면화된 억압의 복잡한 순환으로 표출되었다.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have been growing efforts to break this culture of silence and reclaim the yanggongju's place in history. Feminist scholars, activists, and artists have begun to excavate the hidden archives of military prostitution, giving voice to the women's stories of struggle and survival. These counter-memories disrupt the smooth surfaces of official historiography, demanding a reckoning with the unresolved legacies of war and occupation.
그러나 최근 들어, 이 침묵의 문화를 깨고 양공주의 역사적 위치를 되찾으려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페미니스트 학자와 활동가, 예술가들이 군사 매춘의 숨겨진 기록을 발굴하기 시작했고, 여성들의 투쟁과 생존의 이야기에 목소리를 실어주고 있다. 이 대항 기억들은 공식 역사서술의 매끄러운 표면을 교란하며, 전쟁과 점령이 남긴 미해결의 유산을 직시할 것을 요구한다.
Yuna's haunting presence on Hooker Hill can be read as part of this larger project of historical reclamation. By boldly occupying a space of transgression and taboo, she compels us to confront the ghosts we might prefer to keep buried. Her defiant visibility is a reminder that the past is never truly past, that its wounds continue to fester beneath the surface of the present.
홍등가의 유나의 사념 어린 존재는 이런 역사 되찾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읽힐 수 있다. 일탈과 금기의 공간을 대담하게 점유함으로써, 그녀는 우리가 파묻어두고 싶어 하는 유령들과 마주할 것을 강요한다. 그녀의 도전적인 가시성은 과거가 결코 진정으로 과거가 아니며, 그 상처가 현재의 표면 아래에서 계속 곪아가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As we bear witness to Yuna's story, we are called to question our own complicity in the silences and erasures that have shaped Itaewon's haunted topography. What responsibility do we bear, as individuals and as a society, to acknowledge and redress these histories of violence and exclusion? How might we begin to imagine forms of healing, justice, and collective memory that do not depend on the willful forgetting of the marginalized and dispossessed?
유나의 이야기에 증인이 되어가며, 우리는 이태원의 유령 어린 지형을 형성해온 침묵과 말소에 우리 자신도 공모해왔는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개인으로서, 그리고 사회로서 우리는 이 폭력과 배제의 역사를 인정하고 바로잡는 데 어떤 책임이 있는가? 주변화되고 박탈당한 이들을 기꺼이 잊으려 들지 않으면서, 치유와 정의, 집단 기억의 형태를 어떻게 상상할 수 있을까?
IV. Reading Itaewon's Bacchanalian Nightscapes
IV. 이태원의 광란의 밤 풍경 읽기
If Hooker Hill represents one node in Itaewon's psychogeography of desire, then the neighborhood's bacchanalian nightscapes offer another window into its complex libidinal economies. For decades, Itaewon has been renowned as a mecca of pleasure and transgression, a place where the usual social norms and inhibitions seem to melt away under the cover of darkness.
홍등가가 이태원 욕망의 심리지리에서 한 교점을 나타낸다면, 이 동네의 광란의 밤 풍경은 그 복잡한 리비도 경제의 또 다른 창을 제공한다. 수십 년 동안 이태원은 쾌락과 일탈의 메카로 유명했다. 통상적인 사회규범과 억압이 어둠 속에서 사라지는 듯한 곳으로 여겨졌다.
In the smoky haze of bars and clubs, foreign men's bodies become charged sites of fantasy and projection, vessels for the acting out of deeply held desires and resentments. For some Korean women, the act of pursuing intimate encounters with these men represents a form of rebellion against the strictures of patriarchal tradition, a claiming of sexual agency in defiance of oppressive gender norms. For others, it is a means of economic survival, a way to leverage their erotic capital in a system that affords them few other options.
바와 클럽의 매캐한 안개 속에서, 외국 남성들의 몸은 환상과 투사의 전하를 띤 장소가 된다. 깊이 내재한 욕망과 앙금을 연기하는 그릇이 된다. 일부 한국 여성들에게, 이들 남성과의 친밀한 만남을 추구하는 행위는 가부장적 전통의 속박에 대한 일종의 반항을 의미한다. 억압적인 성 규범에 맞서 성적 주체성을 선언하는 일이다. 또 다른 이들에게, 그것은 경제적 생존의 수단이요, 다른 거의 선택지가 없는 체제에서 자신의 에로틱 자본을 지렛대 삼는 방식이다.
Meanwhile, for the GIs and other foreign men who flock to Itaewon's red-light districts, the area's seedy reputation holds a potent allure. Steeped in Orientalist fantasies of Asian women as submissive and sexually available, they seek out transactional encounters as a way to enact masculinist scripts of conquest and domination. The exchange of money for sexual services becomes a symbolic exchange of power, a reassertion of the hierarchies of race, gender, and nationality.
한편 이태원의 홍등가로 몰려드는 미군과 다른 외국 남성들에게는, 이 지역의 추잡한 명성이 강력한 매력을 품고 있다. 아시아 여성을 순종적이고 성적으로 가용한 존재로 보는 오리엔탈리즘적 환상에 젖어, 그들은 정복과 지배의 남성주의 각본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거래적 만남을 추구한다. 성 서비스와 교환되는 돈은 권력의 상징적 교환이 된다. 인종과 젠더, 국적의 위계를 재확인하는 일이다.
Yet even in the midst of these seemingly clear-cut power dynamics, there are always spaces for negotiation, resistance, and subversion. The women of Itaewon's night world are not mere passive objects, but active agents navigating a treacherous landscape with courage, ingenuity, and resilience. Through subtle acts of performativity and play, they find ways to assert their own desires and identities, to carve out pockets of autonomy and pleasure within the interstices of an oppressive system.
하지만 이처럼 명백해 보이는 권력관계 한가운데에서도, 협상과 저항, 전복을 위한 공간은 늘 존재한다. 이태원의 밤의 세계에서 여성들은 그저 수동적 대상이 아니라 용기와 독창성, 회복력으로 험난한 풍경을 헤쳐나가는 능동적 행위자다. 미묘한 수행성과 유희의 행위를 통해, 그들은 억압적 체계의 틈새에서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주장하고, 자율과 쾌락의 영역을 개척할 방도를 찾아낸다.
Yuna's mysterious figure embodies this spirit of ambiguity and defiance. As she moves through the neon-lit streets of Hooker Hill, she seems to slip between the cracks of easy categorization, blurring the lines between victim and vixen, madonna and whore. Her very presence destabilizes the binary logics of patriarchal and imperialist thought, inviting us to confront the messy complexities of human desire and agency.
유나의 신비로운 형상은 이 모호함과 저항의 정신을 구현한다. 네온으로 빛나는 홍등가의 거리를 누비는 그녀의 모습은 손쉬운 범주화의 틈새로 빠져나가는 듯하다. 희생자와 요부, 성녀와 창녀 사이의 경계를 흐리면서. 그녀의 존재 자체가 가부장적이고 제국주의적 사고의 이분법적 논리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인간의 욕망과 행위성의 복잡다단한 양상과 마주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In the end, perhaps, it is this refusal to be pinned down or defined that makes Yuna such a potent symbol of Itaewon's haunted topography. Like the neighborhood itself, she is a cipher, a riddle, a question mark hovering over the contested terrain of Korea's modern history. To trace the contours of her story is to begin to unravel the tangled knots of trauma, resilience, and resistance that have shaped this place and its people - and to glimpse, if only for a fleeting moment, the possibility of a different kind of future.
결국, 아마도 규정되거나 정의내려지기를 거부하는 이 태도야말로 유나를 이태원의 유령 어린 지형의 강력한 상징으로 만드는 것일 터이다. 이 동네 자체처럼, 그녀는 암호이자 수수께끼다. 한국 근대사의 논쟁적 영토 위에 떠도는 물음표다. 그녀 이야기의 윤곽을 더듬는 일은 이 장소와 그 사람들을 형성해온 트라우마와 회복력, 저항이 얽힌 매듭을 풀어내기 시작하는 것이다 - 그리고 비록 스쳐 지나가는 순간일지라도, 다른 종류의 미래의 가능성을 엿보는 일이다.
V. Towards a Feminist Psychogeography of Resistance
V. 저항의 페미니스트 심리지리를 향하여
How, then, might we begin to imagine a feminist psychogeography of Itaewon that does justice to the complexities of its haunted past and contested present? One possible approach is to look to figures like Yuna as avatars and agents of a radical praxis of space-making and counter-memory.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태원의 유령 어린 과거와 논쟁적 현재의 복잡성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페미니스트 심리지리를 상상하기 시작할 수 있을까? 한 가지 가능한 접근법은 유나 같은 인물들을 공간 만들기와 대항 기억의 급진적 실천의 화신이자 행위자로 바라보는 것이다.
Through her embodied presence on the streets of Hooker Hill, Yuna enacts a form of critical spatial intervention, disrupting the dominant scripts of gentrification and redevelopment that seek to erase the neighborhood's unruly histories. By boldly claiming her place within Itaewon's affective landscape, she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the re-inscription of subaltern knowledge and experience.
홍등가 거리에서 구현되는 그녀의 존재를 통해, 유나는 비판적 공간 개입의 한 형태를 수행한다. 이 동네의 통제 불능한 역사들을 지우려 하는 젠트리피케이션과 재개발의 지배적 각본을 교란하면서. 이태원의 정서적 풍경 속에서 대담하게 자신의 자리를 주장함으로써, 그녀는 하위주체의 지식과 경험을 재inscription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젖힌다.
At the same time, Yuna's enigmatic performance invites us to question the very terms of visibility and representation that structure our engagement with marginalized subjects. Rather than rendering her legible within a framework of victimization or rescue, we might read her opacity as a form of strategic resistance, a refusal to be fully known or consumed by the voyeuristic gaze.
동시에, 유나의 수수께끼 같은 퍼포먼스는 우리가 주변화된 주체들과 관계 맺는 방식을 구조화하는 가시성과 재현의 조건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이끈다. 그녀를 희생자화나 구출의 틀 안에서 가독적으로 만드는 대신, 우리는 그녀의 불투명성을 전략적 저항의 한 형태로, 관음증적 시선에 의해 온전히 알려지거나 소비되기를 거부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In the end, a feminist psychogeography of Itaewon must be one that embraces the ghosts and the gaps, the silences and the contradictions that haunt its streets. It must be a praxis of critical empathy and creative estrangement, one that seeks to unsettle rather than to settle accounts. In the flickering figure of Yuna, we may catch a glimpse of what such a praxis might look like - a spectral guide to the hidden histories and possible futures that lie waiting to be excavated from the ruins of the city.
결국, 이태원의 페미니스트 심리지리는 그 거리를 배회하는 유령들과 공백들, 침묵과 모순을 포용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것은 비판적 공감과 창조적 소원함의 실천이어야 한다. 계산을 매듭짓기보다는 동요시키기를 추구하는. 깜빡이는 유나의 형상 속에서, 우리는 그러한 실천이 어떤 모습일지 잠시 엿볼 수 있다 - 도시의 폐허에서 발굴되기를 기다리는 숨겨진 역사와 가능한 미래들로 이끄는 유령 같은 안내자로서.